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1647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예수 성심에 대한 환시를 보고 예수 성심 신심을 널리 알린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녀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 류마티스열을 앓은 후 성모 방문회 수녀회에 입회하여 수도 생활을 시작했으며, 수도원에서 예수의 환시를 여러 차례 경험했다. 알라코크는 예수 성심 대축일 제정, 매달 첫 금요일 성체 영성체, 매주 목요일 밤의 성시간 등을 권고했으며, 이러한 환시와 가르침은 처음에는 논란이 있었으나, 클로드 드 라 콜롬비에르 신부의 지지와 교회의 인정을 받았다. 1920년 시성되었으며, 그녀의 유해는 부패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되어 순례자들의 방문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베네딕토 15세가 시성한 성인 - 잔 다르크
잔 다르크는 15세기 백년 전쟁 시기 프랑스를 구원하고 종교 재판에서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했으나 사후 복권되어 프랑스 국가의 상징이 된 인물이다. - 1647년 출생 - 드니 파팽
드니 파팽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수학자, 발명가로서 압력솥의 원형인 증기 솥을 발명하고 증기 기관 개발에 기여했으며 안전밸브 발명, 공기압 동력 전달 장치와 외륜선 고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1647년 출생 - 혼다 다다히데
혼다 다다히데는 에도 시대의 무장, 다이묘로 혼다 마사카쓰의 아들이자 혼다 마사노부의 양자이며 하리마 야마자키 번의 초대 번주로서 오반가시라를 역임하고 야마가 소코에게 병법을, 가노 쓰네노부에게 회화를 배우는 등 다방면에 능통한 교양인이었다. - 1690년 사망 - 숭선군
숭선군은 조선 인조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나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귀인 조씨의 역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보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90년 사망 - 이상진 (1614년)
이상진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승지와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숙종 때 우의정에 이르렀으나 기사환국으로 귀양, 갑술환국 이후 복권되었으며 시호는 충정으로,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에 관여하고 갑술환국 이후 복권은 남인 세력의 재기를 위한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접두사 | 성녀 |
이름 |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 |
존칭 접미사 | VHM |
출생일 | 1647년 7월 22일 |
사망일 | 1690년 10월 17일 |
기념일 | 10월 16일 (10월 17일 성모 방문 수녀회 및 1969년 이전에는 전 세계적으로; 캐나다에서는 10월 20일로 옮겨짐) |
공경 대상 | 로마 가톨릭교회 |
![]() | |
출생지 | 로토쿠르, 부르고뉴 공국, 프랑스 왕국 |
사망지 | 파레르모니알, 부르고뉴 공국, 프랑스 왕국 |
칭호 | 동정녀 |
시복일 | 1864년 9월 18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 집전자 | 교황 비오 9세 |
시성일 | 1920년 5월 13일 |
시성 장소 | 바티칸 시국 |
시성 집전자 | 교황 베네딕토 15세 |
상징물 | 방문 수녀회의 종교적 습관을 입고 예수 성심의 이미지를 들고 있음 |
주요 성지 | 성모 방문 수도원, 손에루아르 주 파레르모니알, 프랑스 |
2. 유년 시절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1647년 6월 22일 당시 부르고뉴 공국에 속했던 프랑스 베로브르 코뮌의 일부인 L'Hautecour|오트쿠르fra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공증인 클로드 알라코크였고 어머니는 필리베르트 라멩이었다.[27][1] 그녀는 어릴 때부터 성체에 대한 신심이 남달랐으며, 혼자 조용히 기도하는 것을 즐겼다.[27][1]
8살 때 아버지가 폐렴으로 세상을 떠난 후,[1] 샤롤에 있는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 학교에 보내졌고, 9살에 첫 영성체를 하였다.[27][1] 첫 영성체 후 류마티스열에 걸려 4년 동안 병상에 누워 지내야 했다.[27] 이 기간 동안 비밀리에 고행을 실천하기도 했으며,[27] 병이 낫게 되면 수도자가 되어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겠다고 성모 마리아에게 서원하였다. 서원 후 병이 기적적으로 치유되었고,[27]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자신의 세례명 마르가리타에 '마리아'를 덧붙였다. 훗날의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어린 시절 예수 그리스도의 환시를 보았으나 이를 평범한 경험으로 여겼으며 고행을 지속했다고 한다.[1]
아버지가 사망한 후 삼촌이 가족 재산을 관리하게 되었으나 돌려주기를 거부하여 집안이 경제적으로 어려워졌다. 이 시기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지역 교회에서 성체 앞에서 기도하며 위안을 얻었다.[1] 17세가 되자 오빠가 성년이 되어 집안의 재산을 되찾으면서 형편이 나아졌다.[1] 어머니는 그녀가 좋은 혼인 상대를 찾기를 바라며 사교 활동을 권유했다.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어머니에게 순종하는 마음으로, 또 어릴 적 서원이 더는 유효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오빠들과 함께 무도회 등에 참석하기 시작했다.[1]
그러던 어느 날 밤, 사육제를 위해 화려한 옷을 입고 무도회에서 돌아온 후, 채찍질당해 피 흘리는 그리스도의 환시를 보게 되었다. 그리스도는 자신을 잊은 것을 꾸짖으면서도, 그녀가 어린 시절 성모 마리아에게 했던 서원을 기억하며 그녀에 대한 사랑이 가득함을 보여주었다. 이 경험을 계기로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자신의 서원을 이행하기로 굳게 결심하게 된다.
3. 환시 체험과 수도 생활
독실한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태어난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깊었으며 정결을 서약했다. 하루는 기도 중에 예수 그리스도의 환시를 목격하였으나, 당시에는 이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해버렸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나타나 과거 그녀가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겠다고 한 서원을 상기시키며, 그녀에 대한 사랑으로 자신의 성심이 가득 찼다고 말했다. 또한 그녀가 서원을 잊은 것을 책망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체험 후,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1671년 6월 2일 파레르모니알에 있는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 소속 수녀원을 처음 방문하여 수녀가 되라는 내적 음성을 듣고 소명을 느꼈다. 가족의 반대가 있었지만, 그녀는 뜻을 굽히지 않고 같은 해 6월 20일에 수녀원에 입회했다. 당시 그녀의 나이는 24세였다.[27]
1671년 8월 25일에 수도복 착복이 허락되었으나, 통상적인 절차보다 늦은 1672년 11월 6일에야 수도 서원을 하고 정식 수녀가 되었다.[2] 수련기 동안 한 동료 수녀는 마르가리타 마리아를 겸손하고 단순하며 솔직하지만, 무엇보다 친절하고 인내심이 강한 사람으로 묘사했다.[3] 수녀가 된 후 그녀는 양호실에 배치되었으나, 그 임무에는 그다지 능숙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4]
수도원에서 지내던 중, 알라코크는 1673년 12월 27일부터 1675년 6월 사이에 여러 차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사적 계시를 받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주로 예수 성심에 대한 신심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이러한 환시 체험과 그 내용은 이후 예수 성심 신심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3. 1. 예수 성심 신심의 확산
수녀가 된 지 3년째 되던 해인 1673년 12월 27일,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다시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받았다. 기도 중 예수 그리스도가 나타나 위에는 십자가가 있고 주위에는 가시관이 둘러있는, 사랑의 불꽃으로 타오르는 자신의 예수 성심을 보여주었다. 예수는 사람들에 대한 무한한 사랑에도 불구하고 배은망덕과 무관심, 무례함만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고, 특히 자신과 가까운 이들로부터 받는 능욕에 대해 언급했다.[28]
이 발현에서 예수는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로부터 일주일이 지난 후 금요일을 예수 성심 대축일로 정하도록 명했다. 또한, 그날 영성체를 하고 제대 위에 성체를 현시하여 예수 성심이 받은 불경을 배상하는 엄숙한 보상 행위를 하도록 지시했다.[28][9][10] 예수는 예수 성심을 다른 이들에게 공경하도록 권하는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사랑을 부어줄 것을 약속했다. 더불어 매주 목요일 밤마다 한 시간 동안 겟세마니 동산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겪었던 고통의 시간을 묵상하라는 계시도 받았다. 이는 오늘날 가톨릭교회 신자들이 첫 목요일 밤에 갖는 성시간의 기원이 되었다.[29][30][6][7][8]
1674년과 1675년 사이의 다른 발현들을 통해 예수 성심 신심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첫 금요일 신심으로, 매달 첫 금요일에 9개월 연속으로 성체를 영하며 보속하는 행위이다. 이를 실천하는 이들에게는 "마지막 참회의 은총"을 포함한 "큰 약속"이 주어졌다.[5]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환시 내용을 실천하려 했으나, 주변 수녀들의 의심과 신학자들의 불신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프랑스에는 엄격한 신앙을 강조하는 얀센주의의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수녀원의 고해 사제였던 예수회의 클로드 드 라 콜롱비에르 신부는 그녀의 환시가 하느님으로부터 온 것이라 확신하며 지지했다. 그는 마르가리타 마리아의 중요한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1683년, 새 수녀원장으로 선출된 멜랭 수녀가 마르가리타 마리아를 보호하고 지지하면서 수녀원 내의 반대는 점차 수그러들었다.
이후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수련원장이 되어 후배 수녀들에게 예수 성심 신심을 가르쳤다.[4] 그녀의 수녀원에서는 1686년부터 비공식적으로 예수 성심 축일을 지키기 시작했으며, 1688년에는 파레르모니알에 예수 성심에게 봉헌된 경당이 세워졌다.[15] 예수 성심 신심은 점차 다른 성모 마리아 방문 수녀회 소속 수녀원들로 퍼져나갔다.[15]
1675년 6월 16일 발현에서는 프랑스를 위한 세 가지 구체적인 요청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프랑스 국왕이 예수 성심을 공경하고, 예수 성심의 형상을 담은 건물을 짓고 왕실의 경의를 표하며, 예수 성심을 국기(깃발)와 군대의 무기에 새겨 교회의 모든 적에게 승리하도록 하라는 내용이었다.[11][12][13] 1689년에는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에게 국가를 예수 성심께 봉헌하라는 예수의 개인적인 요청을 전달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루이 14세는 이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16]
1681년경,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자신의 피로 예수께 헌신하는 개인적인 서약을 작성할 필요성을 느꼈다. 수녀원장의 허락을 받아 칼로 가슴에 예수의 이름을 새기고 피로 문서에 서명했다고 전해진다.[14] 이후 상처가 희미해지자 칼이나 불로 상처를 다시 내려 했으나, 이로 인해 치료를 받게 되었다.[14]
클로드 드 라 콜롱비에르 신부는 이후 영국으로 파견되었다가 투옥 후 추방되어 파레르모니알로 돌아왔으나 1682년에 사망했다.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1690년 10월 17일에 선종했다. 그녀로부터 시작된 예수 성심 신심은 점차 프랑스 전역과 전 세계 가톨릭교회로 확산되었다.
4. 죽음과 시성
마르가리타 마리아는 병을 앓다가 1690년 10월 17일, 43세의 나이로 선종하였다. 그녀가 전파한 예수 성심 신심은 사후 예수회에 의해 널리 알려졌으나, 가톨릭 교회 내에서는 상당 기간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신심이 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기까지는 그녀의 사후 75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7] 마르가리타 마리아의 활동과 계시, 영적 가르침 등은 오랜 기간 엄격한 조사를 받았다.
시성 절차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전례성성의 긍정적인 검토 끝에, 1824년 3월 30일 교황 레오 12세는 그녀를 가경자로 선언하며 시성 절차를 시작했다.[17]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절차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1830년 7월, 교황청의 사도 대리들은 시성 조사의 일환으로 마르가리타 마리아의 영웅적 덕행을 조사하고 유해를 확인하기 위해 파레르모니알에서 그녀의 무덤을 열었다. 놀랍게도 그녀가 선종한 지 14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뇌가 썩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었다. 네 명의 의사가 이 현상을 기적으로 기록했으며, 두 건의 즉각적인 치유 사례도 보고되었다. 그녀의 덕행과 저술에 대한 조사는 14년간 이어졌다.[18] 1846년 8월 23일, 교황 비오 9세는 그녀의 영웅적 덕행을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하느님의 종' 칭호를 부여했다.[18]
1864년 9월 18일, 교황 비오 9세는 마르가리타 마리아를 복자로 선포(시복)하였다. 시복을 위해 다시 무덤을 열었을 때, 선종 후 174년이 지났음에도 그녀의 뇌는 여전히 부패하지 않은 상태였다.[19]
마침내 1920년 5월 13일,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성인으로 선포(시성)되었다. 교황은 시성 교황 칙서에 첫 금요일 신심의 "위대한 약속"을 포함시켰다.[20] 시성 승인에 필요한 기적으로는 루이즈 아고스티니-콜레시의 만성 횡단 척수염 치유와 백작 부인 안토니아 아르토리의 우측 유두암 치유 사례가 인정되었다.[21]
1928년 교황 비오 11세는 회칙 ''가장 자비로우신 구세주''를 통해, 마르가리타 마리아가 경험한 예수 그리스도의 환시의 신뢰성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재확인하며, 예수께서 그녀에게 나타나 성심 공경을 약속했다고 언급했다.[22]
1929년에는 그녀의 선종일인 10월 17일을 기념하는 축일이 로마 전례력에 포함되었다. 이후 1969년 전례 개혁을 통해 축일은 10월 16일로 변경되었다.[23] 현재 그녀의 유해는 파레르모니알의 발현 경당 측면 제대 위에 안치되어 있으며, 전 세계 순례자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1]
마르가리타 마리아가 남긴 짧은 신심 서적인 ''예수 성심 신심''은 그녀 사후인 1698년 J. 크로이세에 의해 출판되어 로마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다. 또한, 카리브해의 세인트루시아 섬에서는 매년 10월 17일, 그녀의 축일을 기념하는 마가리타 꽃 축제가 열린다.[24]
5. 유산과 영향
마르가리타 마리아가 선종한 후, 그녀가 강조했던 예수 성심 신심은 예수회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교회 내에서는 여러 논쟁이 있었고, 그녀가 세상을 떠난 지 75년이 지나서야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
오랜 기간에 걸쳐 시성 조사가 진행되었다. 1824년 3월, 교황 레오 13세는 마르가리타 마리아를 가경자로 선포했다. 1830년 6월에는 시성 조사를 위해 그녀의 무덤이 공개되었는데, 이때 부패되지 않은 유해 일부가 발견되어 파레르모리알의 경당 제대 밑에 안치되었다.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시성 조사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정밀한 조사를 거쳐 1864년 9월 18일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복녀로 시복되었다. 마침내 1920년 5월 13일,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마르가리타 마리아를 성인으로 선포하였다. 1929년에는 그녀가 선종한 날을 기념하여 10월 16일이 로마 전례력에 공식 축일로 포함되었다.
스페인 군인들이 사용하는 detente bala|데텐테 발라es 부적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의 상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또한, 제임스 조이스의 단편 소설 "에블린"(더블린 사람들 수록)에는 "축복받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에게 주어진 약속에 대한 컬러 인쇄물"이 20세기 초 아일랜드 가정의 장식품으로 묘사되어, 당시 아일랜드 가톨릭 신앙의 일면과 마르가리타 마리아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26]
참조
[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Margaret Mary Alacoque
http://www.newadvent[...]
2017-06-23
[2]
서적
The Life of Saint Margaret Mary Alacoque
TAN Books
1990
[3]
웹사이트
Saint Margaret Mary Alacoque
2016-10-16
[4]
웹사이트
Lives of Saints
http://www.ewtn.com/[...]
John J. Crawley & Co., Inc.
[5]
서적
Vie et oeuvres
http://archive.org/d[...]
Paris : Poussielgue
1915
[6]
서적
Vie et oeuvres
http://archive.org/d[...]
Paris : Poussielgue
1915
[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8]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1983
[9]
서적
Vie et oeuvres
http://archive.org/d[...]
Paris : Poussielgue
1915
[10]
서적
Encyclopedia of Catholic Devotions and Practices
2003
[11]
서적
Sainte Marguerite–Marie Alacoque – Sa vie par elle-même – Life by herself
Saint-Paul
[12]
서적
Le Sacré-Cœur et la Grande Guerre
[13]
웹사이트
History of Sacred Heart
http://salve-regina.[...]
1994
[14]
서적
Revelation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to Blessed Margaret Mary and the History of Her Life
https://archive.org/[...]
Benziger Brothers
[15]
뉴스
Oct 16 – St Margaret Mary Alacoque (1647–90) visionary
https://www.catholic[...]
Catholic Ireland
2012-10-16
[16]
웹사이트
The Secret of Saint Margaret Mary
https://www.ewtn.com[...]
Sheed and Ward
[17]
서적
Vie et révélations de Sainte Marguerite-Marie Alacoque
https://archive.org/[...]
Librairie Saint-Paul
1920
[18]
서적
Vie et révélations de Sainte Marguerite-Marie Alacoque
https://archive.org/[...]
Librairie Saint-Paul
1920
[19]
서적
Vie et révélations de Sainte Marguerite-Marie Alacoque
https://archive.org/[...]
Librairie Saint-Paul
1920
[20]
웹사이트
Acta Apostolicæ Sedis 1920
https://www.vatican.[...]
The Holy See
1920
[21]
서적
Vie et révélations de Sainte Marguerite-Marie Alacoque
https://archive.org/[...]
Librairie Saint-Paul
1920
[22]
웹사이트
Encyclical Miserentissimus Redemptor
https://www.vatican.[...]
[23]
웹사이트
Optional Memorial of Saint Margaret Mary Alacoque, virgin
https://bible.usccb.[...]
USCCB
[24]
웹사이트
The National Flower Festivals: La Rose and La Marguerite
https://archive.stlu[...]
[25]
뉴스
El Regimiento "Príncipe" n.º 3 se presenta a su Patrona
https://ejercito.def[...]
Regimiento de Infantería 'Principe' nº 3
2018-10-24
[26]
간행물
Joyce’s ‘Eveline’ and the Blessed Margaret Mary Alacoque
http://www.jstor.org[...]
1968
[27]
웹사이트
St. Margaret Mary Alacoque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2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9]
서적
Encyclopedia of Catholic Devotions and Practices
2003
[30]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